원주민들의 이기주의 텃세‥인구소멸 지름길
귀농·귀촌인들 정착하려면 마을 주민들 교육 필요
이주민 배척하는 일부 주민들, 지역발전 저해

[오주원 기자] 몇 년 전 홍천의 어느 작은 시골마을에 농사를 짓기 위해 귀농한 사람이 경운기를 운전해 좁은 농로길을 가다가 수로에 빠져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충격적이게도 이는 그냥 사고가 아닌 마을 주민들의 텃세로 인해 발생한 사고였다.

밭으로 가는 다른 넓은 길도 있었지만 마을 주민들은 외지인이라는 이유로 그 길을 다니지 못하게 해 어쩔 수없이 작은 농로길로 가다 생긴 사고였다. 또한, 마을주민의 텃세로 농산물을 영농조합에 출하하지 못하고 다른 지역으로 다니며 농산물을 출하하는 등 힘겹게 농사를 짓던 중에 사고를 당했다고 전해졌다.

또 다른 마을에서는 도시에서 귀농한 A씨가 몇 년간 컨테이너에서 생활하며 농사를 짓다 지난해 집을 짓기 위해 관공서를 다니며 허가를 받으려 했지만, 어쩐일인지 여러가지 핑계(?)와 방해로 허가를 낼 수 없었다. 마을이장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귀농인에게 면 직원들은 이장말만 듣고 홀대를 했고 심지어 면장까지 나서서 허가를 방해 했다는 것이다. 마을주민과 면 직원들이 함께 뭉쳐 텃세를 부린 셈이다.

사진캡처=홍천군 사이트

결국 땅을 팔지 않고 계속 살면서 농사를 짓겠다는 서약서를 쓴 이후 겨우 허가를 받았지만, 집을 짓기 위해 자재를 들여오는 마을길을 주민들이 막아 더 멀고 험한 길로 자재를 실어 나르며 집을 지었다고 하소연 했다.

홍천군은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인구 7만 명이 무너져 현재 지역소멸 위기에 놓여있다.

이에 군은 귀농귀촌을 비롯해 청년사업가와 젊은 노동력을 끌어 들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젊은 층을 끌어들이기엔 역부족이어서 우선 귀농·귀촌인들의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 홍천군은 서울 등 대도시에서 매년 귀농·귀촌 홍보를 하며 교육 등을 통해 농사정보를 공유하고 각종 지원정책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다음이다. 어렵게 귀농을 했어도 마을 주민들과의 갈등으로 정착을 하지 못하고 다시 도시로, 또는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있고, 심지어 일부 마을은 적게는 수백만 원, 많게는 수천만 원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다는 흉흉한 소문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텃세를 하는 원주민들 때문에 홍천에 이주해 정착할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지 생각해 볼 문제다. 이주민을 배척하고 자기들만 잘살면 그만이라는 원주민의 이기주의가 결국은 인구가 줄어들고 이는 곧바로 지역이 소멸되는 지름길로, 홍천의 발전은커녕 나중에는 지역에 사람이 살지 않는 텅 빈 마을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일부 마을로 인해 좋지 않는 인상을 남기고 이런 이미지는 귀농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번져 결국은 홍천에 오려는 사람이 없어 홍천의 인구는 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물론 이런 텃세를 부리는 마을은 극히 일부에 국한된 것이며, 반대로 텃세를 부리지 않고 귀농인들과 잘 융합해 살아가는 모범적인 마을이 더 많이 있다. 귀농·귀촌인들이 많을수록 홍천을 찾는 젊은이들이 많아질 것이고, 이는 다시 젊은 층이 홍천에서 살 수 있는 여건으로 이어지는 발판이 될 것이다.

따라서 홍천군은 귀농·귀촌인들이 정착하기까지 교육도 해야겠지만, 무엇보다도 마을주민들을 대상으로 함께 협력해 살아갈 수 있도록 장려하는 교육도 해야 할 시점이다. 함께 더불어 살아야 인구도 늘어나고 인심좋고 살기좋은 마을로 인식돼 홍천으로의 귀농귀촌인의 이주가 늘어날 것이다. 그래야 홍천군의 인구가 소멸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더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