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 말이 있듯이, 다른 공산품이나 문화상품과 달리 농산물은 우리의 생존을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실물이다. 코로나19 확산이 지구촌에 지속되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농산물을 무기화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동안 지역별로 특화된 분업이 잘 된 덕분에 지구촌 인류는 비교적 값싼 먹거리를 공급받으며 살아왔다. 미국 트럼프대통령은 중국에 반 강제적으로 농산물을 떠 안기다시피 하며 무역전쟁을 벌여왔다.

돼지고기는 32%가 미국이, 설탕은 브라질이 50%를, 버터와 전지분유는 뉴질랜드가 50%를 차지하는 등 자기나라 입지조건에 가장 좋은 농산물을 특화해서 대량생산이 되었고 그것들이 무역을 통해서 국가별로 교환되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풍부한 농업생산물을 어떻게 판매하느냐? 하는 것이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정책 이슈였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은 이러한 흐름을 일 순간에 정지시켰다. 신속했던 하늘길과 대량운반이 가능했던 바닷길이 막혀 실물의 이동과 거래가 줄어든 것은 물론이려니와 관련산업 외국근로자들의 이동이 발목잡히다보니 이제는 판로뿐만 아니라 우선 생산자체부터 눈앞의 문제가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기계화 된 미국에서도 농번기 때는 약25만명의 멕시코인들이 일손을 보충하기위해 미국으로 넘어오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중소생산공장이나 음식점에서 그렇듯이 이미 노령화된 농촌사회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대량산지 농업인력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수요공급에 의해서 상품가격이 결정되듯이 임금도 공급이 딸리면 올라 갈수 밖에 없다. 이미 농촌마을의 외국인 일당도 인상된 상태이고 앞으로도 상승압박은 지속될 전망이다. 사실, 그동안 우리 저렴한 식탁 먹거리도 중국에서 들여온 값싼 농산물 때문에 가능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코로나19전염이 지금 추세대로 지속되어 장기화된다면 전 세계에서 곳곳에서 농산물에 관한 불협화음을 예상하지 않을 수 없다. 전염병뿐만 아니라 먹고사는것도 국가별로 독자생존의 길을 모색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국도 한국에 대한 압박을 고려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2004년부터 중국도 주요식량을 수입하는 국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세계 쌀 수출 1위인 인도는 쌀 수출을 전면 금지했고, 캄보디아도 동남아 쌀 수출을 금지한 상태라 한다.

더구나 이번 긴 장마와 폭우로 농지가 훼손되고 농사일에 대한 사기가 떨어졌다. 지방자치 행정단체나 중앙정부는 장래 국민 생존의 문제에 대해서 더욱 세심하게 고민해야 할 때가 왔다.

핵무기가 지구를 황폐화시켰던 가상영화 “그 날 이후”에서 보듯이 핵폭탄투하 이후는 우리의 문명이 100년 뒤로, 아니 원시사회로 순식간에 되돌아간다는 상상이 눈앞의 현실이 되는 것이다. 생활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가 현실이기 때문이다. 발전소가 파괴되고 전기가 나가면 화려하고 편리했던 가전제품이 순간적으로 무용지물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공산품이 부족하면 야근이라도 해서 공장 가동율을 올리면 되겠지만, 농산물은 야근해서 될 일이 아니다. 1년이 소요되는 산업이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다툼속에 이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나라는 더불어 괴로울 수밖에 없다.

이러한 틈바구니속에서 어떻게 하면 독자생존의 발판을 만들 것인가? 전염병이나 외세의 침입으로부터 국민의 안위를 지키는 것이 제1의 책무인 것처럼, 먹고사는 생존의 문제로부터 위협받을 수 있는 국민을 지키는 것 역시 국가 제1의 책무가 될 수밖에 없다.

특별히 농산물 생산의 제일선에 서있는 지방행정의 수장과 참모들은 예상되는 위험을 대비해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세워 나가는데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되겠다는 것을 특별히 강조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더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